1930년대를 대표하는 여성 작가 강경애는 가난한 식민지 여성의 삶을 직접 체험하며, 당대 여느 작가들이 보지 못했던 식민지의 실상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소설 작품을 많이 남겼다.
「인간문제」의 주인공 선비는 고향 마을에서 지주의 횡포로 아버지를 잃고 그에게 농락당하고는 인천의 방직공장 노동자가 된다. 선비를 좋아하던 소작농 첫째 역시 추수 마당에서 지주와 충돌하여 주재소에 잡혀갔다가 인천 부두 노동자로 나오며, 지식인 신철에 의해 의식화된다.
신철은 동요하는 지식인으로 소시민성을 극복하지 못한 채 전향하고 선비는 병으로 쓰러지는데, 첫째는 눈을 부릅뜨며 선비의 삶과 죽음이 개인의 소멸이 아닌 역사의 흐름이라고 파악한다.
강경애의 「인간문제」는 식민지하에서 피폐해져가는 당시 농촌 풍경을 비롯해 인천 부두 노동자의 생동감 넘치는 세계, 착취당하는 노동 현장에 투신했던 나약한 대학생에 이르기까지 1930년대 식민지 사회의 전반적인 모습을 세부적으로 묘사해 근대문학사의 대표적 리얼리즘 소설로 평가받고 있다.
1907년 황해도 출신의 작가 강경애는 가난한 농민의 딸로 태어났다. 하지만 5세에 아버지를 잃고 재가한 어머니를 따라 의붓아버지 밑에서 자랐다. 이 시기에 겪었던 심리적, 경제적 곤란은 그의 작품세계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31년 단편소설 「파금」으로 문단에 데뷔했으며 장편소설 「어머니와 딸」을 발표함으로써 작가로 인정받았다. 그러나 불우한 가정환경과 극한의 궁핍, 서울 중심의 중앙 문단과는 동떨어진 생활 등 강경애는 식민지 시기 다른 여성 작가와는 다른 환경에서 출발했다. 대부분의 여성들이라면 자기 정체성을 세우는 성찰의 시간도, 글을 쓸 만한 시간과 공간도 가지지 못한 불우한 환경을 극복하며 가정에서 글을 썼다.
국내외, 간도에서 항일투쟁을 벌인 사람들의 삶의 실상과 하층민들의 불우한 현실 등을 있는 그대로 독자에게 알리는 것을 작가로서의 자신의 의무로 생각한 강경애는 자신의 소설작품에 현실적인 문제를 반영시켰다.
나라를 잃은 식민지 시대에 아버지마저 잃고 가부장적 시대의 가난한 여성이라는 삼중고를 온몸으로 겪으면서도, 여성 특유의 섬세한 묘사와 필체로 이를 고스란히 글로 표현해온 소설가이자 언론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식민지 시대의 투쟁적 인간상을 그린 「인간문제」, 「파금」, 「지하촌」, 「소금」, 「어머니와 딸」 등이 있다.